
출산한 산모가 미역국을 먹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출산 후 산모가 산후조리를 할 때 가장 많이 먹는 음식이 바로 미역국입니다.
미역에는 미네랄과 식이섬유가 많아 출산한 산모에게 좋은 음식으로 소고기, 홍합, 바지락 등의 재료를 넣어 다양하게 먹을 수 있는데요.
오늘은 왜 아이를 낳으면 미역국을 먹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출산 후 미역국을 먹는 이유
출산 후에는 체액과 혈액의 많은 손실로 체력이 떨어지고 모든 관절과 근육이 느슨해집니다.
산욕기에 영양이 부족하면 빈혈, 골다공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산욕기?
분만 뒤 자궁이 원래대로 돌아오는 약 6~8주의 기간
'조선여속고'에서는 "산모가 첫 국밥을 먹기 전에 산모 방의 서남쪽을 깨끗이 치운 뒤 쌀밥과 미역국 세 그릇씩 장만해 삼신상을 차려 바쳤는데 여기에 놓았던 밥과 국을 산모가 모두 먹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는 것처럼 오래전부터 미역국을 먹었던 풍습이 있습니다.
아이를 낳은 후 먹는 미역은 영양학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수산물로 칼슘과 요오드, 식이섬유가 풍부해 자궁 수축과 지혈에 좋고 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하는데 효과적입니다.
| 미역 속 영양소의 기능
1. 요오드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은 심장과 혈관의 활동, 체온과 땀의 조절, 신진대사를 증진하는 작용을 하며 임신 중에는 많은 양의 갑상선 호르몬이 태아에게 가기 때문에 요오드를 보충해야 합니다.
모유 수유로 신생아에게 요오드를 공급해 주어 선천적으로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한 아이에게 흔히 생기는 발육장애인 크레틴병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2. 칼슘
출산 후에는 뼈에 저장된 칼슘을 태아에게 빼앗겨 골밀도가 감소되어 있어 칼슘의 보충이 필요합니다.
미역에는 칼슘과 칼슘의 흡수를 돕는 인이 포함되어 있어 모유 분비로 손실되기 쉬운 칼슘을 보충할 수 있는 좋은 식품입니다.
3. 식이섬유
식이섬유가 풍부해 장벽을 자극하여 장운동을 활발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변비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미역의 영양소 중 250~30%를 차지하는 식이섬유인 '알긴산'은 암 예방 및 비만 억제,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4. 철분
철분도 풍부하게 들어있는데 분만 시 생기는 출혈에 의해 부족하기 쉬운 혈액을 보충해 줄 수 있습니다.
| 3끼 미역국 괜찮을까?
미역의 양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미역국 한 그릇에는 700ug 이상의 요오드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3끼 내내 미역국을 먹는다면 요오드 과다 섭취될 우려가 있어 하루 반 그릇에서 한 그릇이면 충분합니다.
또한, 미역에는 칼슘과 요오드는 풍부하지만 단백질과 비타민은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다른 수산물과 같이 먹는 것이 좋으며 홍합, 대합, 전복, 소고기 등 다양한 재료를 넣어 먹으면 영양도 맛도 더 좋아집니다.
[전복 미역국 만드는 법]
전복은 출산 후 기력 회복에도 도움이 되며 지방질이 적고 단백질이 풍부해 모유 수유에도 도움이 됩니다.
재료: 전복 2개, 산모용 마른 미역 50g, 다진 마늘, 국간장, 참기름, 소금
육수: 북어 머리 2개, 무 100g, 대파 잎 부분 2대, 물 1.5L
1. 전복은 겉면을 흐르는 물에 소로 문질로 깨끗이 씻은 뒤 전복 껍데기 세모난 쪽에 숟가락을 대고 전복 살과 껍데기를 분리합니다.
2. 전복 내장을 말끔히 제거하고 이빨을 칼로 잘라 물에 헹궈 건진 다음 적당한 크기로 편 썹니다.
3. 냄비에 북어 머리와 무, 대파 잎, 물을 넣고 30분 정도 충분하게 끓인 뒤 면포에 걸러 맑은 국물을 받습니다.
4. 산모용 미역은 충분하게 불린 뒤 바락바락 주물러 씻어냅니다.
5. 냄비에 국간장과 참기름, 다진 마늘을 넣고 전복을 볶다가 미역을 넣어 볶습니다.
6. 미역과 전복이 어우러져 뽀얀 국물이 약간 우러나면 북어 국물 10컵을 붓고 끓입니다.
7. 전복과 미역이 퍼지면 소금으로 부족한 간을 맞춥니다.
우리나라는 해조류의 소비가 많아 충분히 요오드를 섭취하고 있어 많이 먹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헬스케어 기업 마이필 김승희 영양사
· 원문보기 (업데이트 날짜: 202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