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기 임산부 입덧의 원인과 완화 시키는 음식은?
주변에 임신을 한 지인을 보면 입덧으로 고생하는 것을 종종 보았는데요.
임신을 하면 입덧으로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아예 입덧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입덧이 무엇인지 개선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입덧
임신 4~8주 경부터 입덧(오조)이라고 하는 구토 증세가 나타납니다.
일종의 생리적인 현상이며 보통 9주 내에 시작되고 임신 11주~13주에 가장 심하며 대부분 14~16 주면 사라지지만 22주 이후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메스꺼움, 헛구역질, 가벼운 구토, 식욕 부진, 식품 기호도 변화 등이 나타나며 전체 임산부의 약 80% 정도가 경험합니다.
원인은 아직까지 규명되지 않았지만 임신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로 추정되며 그 외에 임산부의 정서 변화도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집니다.
물도 먹을 수 없을 정도로 심할 경우 담당의와 상의 후 입원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원인
1.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 분비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면 융모가 생기고 이때 생기는 융모는 수정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임신 호르몬인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을 분비하는데 이 호르몬이 구토 중추를 자극해 구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증가
임신 중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증가해 일시적으로 메스꺼움과 구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입덧은 산모가 젊고 마를수록 가능성이 높으며 산모 어머니의 입덧 경험이 있었을 때 경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개선 방법
원인이 명확하지 않아 정확한 치료법이 있지는 않지만 식습관의 조절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1. 입덧을 발생시키는 특정 냄새, 음식 섭취는 피합니다.
2. 적은 양의 식사를 먹고 포만감이 너무 느껴지는 수준까지 먹는 것은 피합니다.
3. 자극적인 맛이나 지방이 많은 음식을 줄입니다.
4. 소량의 물을 자주 마시고 물 이외의 이온음료, 야채주스, 차 등의 음료를 가끔 섭취합니다.
5. 철분제의 복용을 줄입니다.
6. 아침에 일어났을 때 입덧이 심하면 아침에 잠에서 깬 후 일어나기 전 말린 식품, 고단백 스낵, 크래커 등을 섭취합니다.
7. 일부 짠 음식이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감자칩, 비스킷을 섭취합니다.
| 완화 음식
임산부마다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찬 음식, 신맛이 나는 음식이 도움이 됩니다.
1. 신맛이 나는 음식
레몬이나 매실, 모과 등과 같이 신맛이 나는 음식은 입맛을 돋우고 소화불량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찬 음식
뜨거운 음식보다 차가운 음식일 때 음식의 냄새가 덜 나기 때문에 입덧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3. 비타민B6 풍부한 음식
비타민B6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활성화해 구토를 가라앉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풍부한 음식으로는 시리얼, 현미, 감자, 고구마, 녹황색채소(시금치, 당근), 콩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이며 개인마다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조금씩 반응을 보면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 헬스케어 기업 마이필 김승희 영양사
· 원문보기 (업데이트 날짜: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