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달후에 가이드

전문가가 알려주는 임신부영양(마이필)

초기 임산부 입덧의 원인과 완화 시키는 음식은?

주변에 임신을 한 지인을 보면 입덧으로 고생하는 것을 종종 보았는데요.

임신을 하면 입덧으로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아예 입덧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입덧이 무엇인지 개선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입덧

​임신 4~8주 경부터 입덧(오조)이라고 하는 구토 증세가 나타납니다.

일종의 생리적인 현상이며 보통 9주 내에 시작되고 임신 11주~13주에 가장 심하며 대부분 14~16 주면 사라지지만 22주 이후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메스꺼움, 헛구역질, 가벼운 구토, 식욕 부진, 식품 기호도 변화 등이 나타나며 전체 임산부의 약 80% 정도가 경험합니다.

원인은 아직까지 규명되지 않았지만
임신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로 추정되며 그 외에 임산부의 정서 변화도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집니다.

물도 먹을 수 없을 정도로 심할 경우 담당의와 상의 후 입원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원인

​1.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 분비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면 융모가 생기고 이때 생기는 융모는 수정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임신 호르몬인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을 분비하는데 이 호르몬이 구토 중추를 자극해 구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증가

임신 중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증가해 일시적으로 메스꺼움과 구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입덧은 산모가 젊고 마를수록 가능성이 높으며 산모 어머니의 입덧 경험이 있었을 때 경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개선 방법

​원인이 명확하지 않아 정확한 치료법이 있지는 않지만 식습관의 조절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1. 입덧을 발생시키는 특정 냄새, 음식 섭취는 피합니다.

​2. 적은 양의 식사를 먹고 포만감이 너무 느껴지는 수준까지 먹는 것은 피합니다.

​3. 자극적인 맛이나 지방이 많은 음식을 줄입니다.

​4. 소량의 물을 자주 마시고 물 이외의 이온음료, 야채주스, 차 등의 음료를 가끔 섭취합니다.

​5. 철분제의 복용을 줄입니다.

​6. 아침에 일어났을 때 입덧이 심하면 아침에 잠에서 깬 후 일어나기 전 말린 식품, 고단백 스낵, 크래커 등을 섭취합니다. ​

7. 일부 짠 음식이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감자칩, 비스킷을 섭취합니다. ​



| 완화 음식 ​ ​ ​

임산부마다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찬 음식, 신맛이 나는 음식이 도움이 됩니다. ​

1. 신맛이 나는 음식

레몬이나 매실, 모과 등과 같이 신맛이 나는 음식은 입맛을 돋우고 소화불량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2. 찬 음식

뜨거운 음식보다 차가운 음식일 때 음식의 냄새가 덜 나기 때문에 입덧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

3. 비타민B6 풍부한 음식

비타민B6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활성화해 구토를 가라앉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풍부한 음식으로는 시리얼, 현미, 감자, 고구마, 녹황색채소(시금치, 당근), 콩류가 있습니다. ​ ​ ​ ​

일반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이며 개인마다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조금씩 반응을 보면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 헬스케어 기업 마이필 김승희 영양사
· 원문보기 (업데이트 날짜: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