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달후에 가이드

전문가가 알려주는 임신부영양(마이필)

비타민K의 안전성, 임산부가 섭취해도 안전할까요?

비타민K는 혈액응고에 필수적인 지용성 비타민으로 배설이 용이해 다른 지용성 비타민에 비해 안전한 영양소입니다.

최근에는 골대사에 미치는 유익한 영향과 혈관 내 석회화 방지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어 한국에서도 주목하고 있는 성분입니다.

​비타민 K2 보충제는 MK-4, MK-7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비타민 K2의 종류별 이름에 적힌 숫자는 곁사슬이나 꼬리에 탄소 원자가 몇 개가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MK-4는 4탄소 꼬리를 포함하고 체내에 주로 발견되는 형태입니다.

MK-7은 7탄소 꼬리를 포함하며 세균에 의해 생성되어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식품인 낫또에서 추출할 수 있습니다.



| 비타민K 권장 섭취량

​비타민K의 권장 섭취량은 비타민 K1과 K2를 따로 설정하지 않았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에 따르면 19-49세 여성 기준으로 충분 섭취량 65ug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사람과 동물실험에서 비타민K의 과잉섭취에 관한 독성 보고가 없었기 때문에
상한 섭취량을 설정되지 않았습니다.


| 임신 중 비타민K 섭취

임신 중에는 영양소 섭취가 중요하지만, 비타민A 같은 특정 영양소는 과량 복용 시 위험할 수 있습니다.

2011년 Toxicology Mechanisms and Methods 저널에서 발간된 'Safety and toxicological evaluation of a synthetic Vitamin K2, menaquinone-7'의 연구 결과에서 MK-7 섭취에 대한 독성 실험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MK-7 2,000mg/kg을 마우스에 1회 경구 투여했을 때 14일의 관찰 기간 동안 어떠한 독성도 관찰되지 않았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실험에서 LD50은 단일 투여한 한계 용량인 2,000mg/kg bw을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습니다.

* LD50?

동물의 50%가 죽을 것으로 예상되는 통계적으로 측정된 용량



​| 결론

1. 비타민K는 혈액 응고 및 골격 대사에 관련된 단백질(오스테오칼신)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갖는 영양소로 임신 중 충분히 보충되는 것이 좋습니다.

2. 임신 중에서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나
보충제로 섭취할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듣는 것이 좋으며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산부는 적절한 영양 보충이 필요하기 때문에 골고루 드시는 것이 좋으며 보충제 섭취 시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 헬스케어 기업 마이필 김승희 영양사
· 원문보기 (업데이트 날짜: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