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분, 임신 중이라면 꼭 챙겨 드세요
임신부, 철분이 부족하면 안 되는 이유
철분(Fe)의 결핍은 전 세계적으로 흔하며
특히, 영유아·가임기 여성·임신기 여성에게서 발생할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출처 | 뉴스 1
[Fe 결핍일 때]
- 철 결핍성 빈혈
- 산소부족으로 인한 피로감, 의욕 저하
- 창백한 얼굴
- 탈모
- 생리불순, 생리통 심화
Fe 기능
1. 헤모글로빈의 필수 성분
헤모글로빈은 폐로 들어온 산소를 체내 조직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철은 헤모글로빈 합성에 반드시 필요합니다.
2. 성장·발육에 관여
빠른 성장으로 인해 Fe 요구량이 증가하는 영유아에게 부족해지면 세포 내 효소의 기능이 저하되어 인지·신체 발육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정상적인 면역기능 유지
임신기에 철분의 보충이 필요한 이유
Fe는 혈액을 구성하는 혈색소(헤모글로빈)의 주성분으로 출산과 수유를 앞둔 임산부에게 꼭 필요합니다.
임신을 하면 자궁이 커지고 태반의 혈관이 늘어나면서 혈액량이 임신 전보다 45% 정도 증가합니다.
태아는 산모로부터 많은 양의 철분을 가져가고 이로 인해 임산부는 철분이 부족해지기 쉽습니다.
대부분의 임산부의 빈혈은 철 결핍성 빈혈로 나타납니다.
[심한 빈혈일 때]
- 피로감, 두통 등 악화
- 임신기에 철 결핍성 빈혈이 오면 조기 분만, 저체중아의 출산과 연관성 있음
- 원활한 산소 공급을 위해 심장에 무리가 가해져 협심증, 심장비대 등 발생 가능성 있음
"따라서, 임신 20주 이후부터는 대부분의 산모에게서 철 섭취 부족이 생기므로 태아의 성장과 건강한 출산, 빈혈 예방을 위해 철분제 복용이 필요합니다."
| 어떤 것을 선택할까?
헴철과 비헴철로 구분하며
헴철은 육류, 해산물, 가금류 등 동물성 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며 흡수율이 20% 정도이고
비헴철은 시금치, 파슬리 등 식물에 함유되어 있으며 흡수율이 5~10% 정도 됩니다.
두 형태 중에서 무엇이 좋고 나쁘다는 것은 없으나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으니 본인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여 올바른 철분제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주의할 점
1. 비타민C와 같이 섭취하면 흡수율이 좋습니다.
2. 흡수율을 낮추는 성분과는 시간을 두고 섭취합니다.
흡수율을 낮추는 요인으로는 탄닌, 카페인, 우유, 칼슘제, 위장약(제산제, 위산분비 억제제 등)이 있습니다.
3. 공복에 섭취합니다.
공복에 섭취하면 흡수가 잘 되나 위장장애가 있으면 식후 1~2시간 뒤에 섭취합니다.
4. 칼슘, 마그네슘과 시간을 두고 섭취합니다.
칼슘과 마그네슘은 2가 양이온으로 철분과 경쟁적으로 흡수되어 최소 2시간 간격을 두고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하루 권장량
임산부는 성인 여성보다 10mg이 추가 요구됩니다.

하루 권장량
혈색소 수치 정상인 임산부 1일 30~60mg 빈혈이 있는 임산부 300mg이 권장됩니다.
※ 상한 섭취량(체내 흡수된 철 기준)
= 45mg/일
[부작용]
- 메스꺼움, 설사, 구토, 소화불량, 속 쓰림 등과 같은 위장장애
- 변비
- 검은색 변
임의로 복용하는 것보다 혈액검사를 통해 철분 수치를 확인한 후 전문의와 상의하여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복용 후 부작용이 나타날 경우 구입한 약국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보충이 필요한 시기
임신 14주, 16주 ~ 출산 후 3개월까지 권장합니다.
임신 초기에는 아기의 철분 흡수량이 없고 생리를 하지 않아 섭취를 하지 않아도 되지만,
쌍둥이를 임신했거나 심한 빈혈이 있는 경우 전문의와 상의해 초기부터 섭취해야 합니다.
| 복용하기 좋은 시간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 식전 1시간 or 식후 2시간 공복 상태에서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속 쓰림, 메스꺼움과 같은 위장장애가 발생하면 식후에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 급원 식품
철분이 많은 음식 중에서 가장 좋은 것은 헴철을 함유하고 있는 육류, 어패류, 가금류이고 곡류, 콩류, 녹색 채소에도 함유되어 있습니다.
돼지고기의 간, 순대, 굴, 달걀에 많습니다.
· 헬스케어 기업 마이필 김승희 영양사
· 원문보기 (업데이트 날짜: 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