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면역기능에 중요한 아연의 효능과 주의사항
아연은 효소의 구성 성분, 영양소의 대사과정, 상처 회복, 성장 촉진에 관여하는 필수 미량 무기질로
우리 몸에 약 1.5~2.5g이 있고 그중 약 60%는 근육에 나머지는 골격 등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1. 면역 기능
T-세포, NK-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의 발달에 관여합니다.
2. 성장 발달
체내 100여 개 이상 효소 및 조효소의 구성 요소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핵산(DNA, RNA)의 합성과 분해에 관여합니다.
3. 호르몬 활성
인슐린, 성장호르몬, 성호르몬, 갑상선호르몬, 프로락틴 등 호르몬 활성에 관여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정한 기능성은 정상적인 면역기능과 세포분열에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아연이 결핍되면?
주로, 성장 지연, 설사, 식욕 감퇴, 탈모, 면역 능력 감소, 신경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연은 대부분의 식품에 함유되어 있어 결핍이 나타나는 경우는 적지만,
- 성장이 빠른 어린이
- 채식 위주 식사를 하는 사람
- 장기간 정맥 영양, 경장 영양을 하는 사람
이러한 사람들은 아연의 필요량이 증가하거나 체내 흡수가 적어져 결핍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아연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거나 황산아연과 같은 아연 제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약으로 보충하기 전에는 반드시 아연결핍증에 대해 의학적 판단이 필요하며, 전문의와 상의 후 복용해야 합니다.
아연 섭취가 너무 많다면?
과잉 섭취 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구토, 메스꺼움, 복통과 같은 위장장애
- 면역기능 감소
- 구리 흡수 저해 및 결핍
소장에서 아연과 구리는 경쟁적으로 흡수해 구리 결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리 결핍 시 빈혈, 면역력 저하 등이 나타납니다.
권장 섭취량은?
임신기에 태아의 체내 아연 축적량이 증가하고 수유기에 모유로 아연이 분비되어 필요량이 증가해 성인 여성에 비해 추가 섭취가 필요합니다.
보통 해산물, 붉은 살코기, 전곡류, 콩류에 많이 들어있습니다.
가장 우수한 급원 식품은 패류(특히 굴)이며 육류와 같은 동물성 식품입니다. 식물성 식품에는 아연의 함량이 적으며 피틴산(phytate)이 들어있어 아연의 흡수를 방해합니다.
# 피틴산이란?
곡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무기질의 흡수를 저해합니다. 아연과 만나 불용성 화합물을 만들어 장내 아연 흡수율을 낮춥니다.
섭취 시 주의할 점
1. 철분제와 같이 섭취하지 않을 것
철분과 같이 섭취하면 서로의 흡수를 방해해 따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셀레늄과 같이 섭취하지 않을 것
아연과 같은 무기질을 많이 섭취하면 셀레늄의 흡수가 저해됩니다.
3. 함량 확인할 것
대부분의 영양제에는 아연이 함유되어 있어 본인이 여러 가지 영양제를 복용하고 있다면 아연의 함량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한 섭취량: 35mg/일
음식만으로 아연의 섭취가 부족한 경우 영양제로 보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과하게 먹어도 면역력을 떨어뜨리고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만큼 과량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 헬스케어 기업 마이필 김승희 영양사
· 원문보기 (업데이트 날짜: 2025.01.20)